What I studied

9기에 이어서 이번 10기 기술매니저로도 참여하게 되었는데, 첫 순회를 돌면서 생각보다 잘하시는 분들이 많아 안심이 되었던 것 같다. 10기에도 역시 리액트, 리덕스, 리덕스툴킷, json-server, custom hooks 등의 과정이 포함되어있었고 수강생분들이 과제를 하며 어려운 점 등을 같이 고민해보고 해결해드릴 수 있어 뿌듯했다. 지금은 모른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리덕스 툴킷이나 json-server, custom hooks 등을 직접 사용해본적이 없다. 내가 6기 과정에 참여하고 있을 당시에는 새로운 것을 배울 때 하나하나가 모두 어렵게만 느껴지고 이렇게 하는 것이 맞나?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지나고 나니 이제는 새로운 것을 배울 때 공식문서나 구글링을 통해 찾아보는 것이 습관이 되었다. 그래..
3주차에는 리덕스 thunk 미들웨어 사용법과 함께 리덕스 툴킷에 대해 학습하는 주차였다. 6기 과정에는 리덕스 툴킷이 없었기 때문에 나도 이번 기회를 통해 리덕스 툴킷을 학습할 수 있었다. 수강생분들도 열심히 하시는 만큼 나도 질문에 답을 해드릴 수 있도록 준비가 되어있어야했기 때문에 리덕스 툴킷을 새롭게 학습했다. 기존 리덕스 코드는 작성하면 작성할 수록 코드가 길어질 수밖에 없었는데 툴킷을 사용하니 훨씬 더 간결해졌던 것 같다. 리덕스 툴킷에 더해 미들웨어도 학습하고, json-server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배우셨는데 강의자료만 보고 빠르게 치고나가시는 분들이 있는 반면에 천천히 한걸음씩 나아가시는 분들도 계셨다. 빠르게 치고 나가시는 분들을 보며 내가 잘 하고 있는게 맞는지 등에 대해 고민하시는..
기술매니저로써 9기분들을 만난지 벌써 2주차가 되어간다. 2주차는 리덕스에 초점이 맞춰져있었는데 나도 리덕스를 처음 접할 때 많이 어려워했던 기억이 난다. 리액트의 가장 기본이 되는 state, props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를 하지 못한채 리덕스를 맞이하게 되면 당연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래서 아직 state와 props의 개념이 확실하지 않은 분들께는 이 부분을 먼저 복습할 것을 안내해드렸다. 가장 처음에는 state와 props 만으로 CRUD를 구현해보셨고, 2주차에는 기존에 만들었던 것을 redux로 변환하는 작업을 해보실 수 있도록 준비되어있었다. 다음주인 3주차에는 기존 리덕스 코드를 툴킷을 사용한 코드로 변경해보는 작업이 있을텐데 차근차근 하나씩 배워보시면서 흥미를 느끼시는 분들이 눈에..
2022년 3월부터 총 99일동안 이루어진 항해 6기를 무사히 수료하고 원하던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었다. 평소에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은 많았지만 비전공자였고, 내가 원하는 내 꿈을 이루기 위해 항해에 도전했다. 올해 2월까지만 해도 웹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랐던 내가 지금 회사에서 프론트엔드 개발 일을 하고 있다는 것도 신기한 일인데 이제는 항해 9기 기술매니저로써 수강생분들께 도움을 드리고 있다. 남는 시간을 활용해 나 스스로 공부도 할 겸, 수강생분들의 리액트 학습을 도와드리고 있는데 항해를 하면서 어려운 점 등의 고민도 들어드리고 리액트를 공부하며 어려움이 발생할 때 도움을 드리기도 한다. 지금 현재 항해 과정을 경험하고 계신 분들께서 내가 6기 과정 당시 느꼈던 어려움을 똑같이 느끼고 계시기에 ..
반응형
도잎
'항해 기술매니저' 태그의 글 목록